대선 후 우리 사회 갈등, 도대체 어느 정도?

대선 후 우리 사회 갈등, 도대체 어느 정도?

[ 핫이슈 ]

신효선 기자 hsshin@pckworld.com
2022년 03월 29일(화) 16:13
안타깝게도 '갈등'이 우리 사회의 이슈가 되어버렸습니다.
국민의 대다수인 89%가 한국사회의 갈등이 매우 심각한 수준이라고 응답했는데요, 특히 이번 제20대 대선을 거치면서 이념, 지역, 연령, 젠더 등 다방면에서 갈등의 심각성이 수면위로 적나라하게 드러났습니다.
우리 사회의 갈등은 어느 정도이고 무엇이 가장 문제인지 지금부터 함께 살펴보시죠

가장 먼저, 한국사회의 갈등 수준은 OECD 회원국 중 3위로 매우 상위권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갈등이 전 세계적으로 심각하다고 인식되고 있는, 이스라엘과 불과 1.4점 차로 거의 비슷한 수치입니다.
이러한 상황은 우리 국민들도 고스란히 느끼고 있었는데요, 한국사회 갈등해소 센터가 발표한 '2021 한국인의 공공갈등 의식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국민의 10명 중 9명 꼴로 우리 사회의 전반적 갈등 수준이 심각하다고 응답했습니다, 반면 '심각하지 않다'는 응답은 1%에 그쳤습니다. 이러한 수치는 지난 10년 이상 꾸준히 이어지고 있어 우리 사회가 갈등 해소의 길을 찾지 못하고 장기화된 상황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도대체 우리 사회의 어떤 갈등들이 이렇게 많은 걸까요?

14개 집단을 제시하고 심각성 정도를 질문한 결과 진보세력과 보수세력 간의 이념 갈등이 '심각하다'는 응답이 83%로 가장 높았고, 빈부간의 격차 79%, 경영자와 노동자가 77%로 뒤를 이었습니다.
위의 질문에서 젠더 갈등은 여덟 번째 순위에 그쳤지만 모든 집단 중 '갈등 증가세'가 가장 커 눈에 띠는데요, 2013년 이후 대부분의 집단 간 갈등의 '심각하다' 비율이 대체로 비슷하거나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상황에서, 유독 젠더 갈등은 심각하다는 비율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습니다.
2013년에는 29%에 불과했던 반면, 2021년에는 52%까지 치솟았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10년간 여가부 폐지, 여성 징병, 병사 월급 인상, 미투 사건 등으로 인해 언론에서도 우리 사회 주요 갈등으로 부각시키는 부분과 맥을 같이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이러한 성향은 특히 젊은 층에서 두드러졌는데요, 제20대 대선 투표시 20대 남녀 간 투표 성향이 정 반대로 나타났습니다. 지상파 3사의 출구조사 결과를 보면 20대 남자는 윤석열 후보에게 59%, 20대 여자는 이재명 후보에게 58% 투표한 것으로 답했습니다.

대선을 거치며 우리 사회의 갈등이 더 큰 문제로 부각이 됐지만 갈등 해소를 위한 '공정한 중재자가 없다'는 응답이, 58%로 절반을 넘어섰습니다. '그렇지 않다' 즉 공정한 중재자가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13%에 그쳤습니다.
이러한 사회 갈등의 원인으로는 경제적 양극화, 빈부 격차가 1위로 꼽혔습니다. 이렇게 응답한 비율은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함께 높아졌고 보수진영보다 진보진영에서 훨씬 더 높은 수치를 보였습니다. 사회지도층의 지나친 자기 이익 추구, 경제, 사회적으로 높은 불안감, 정치적 불안, 리더십의 부재, 실업률 증가 등의 답변이 뒤를 이었습니다.
이러한 갈등 상황에 대해 국민의 79%가 '사회갈등이 심각한 것은 정치가 제 역할을 못해서'라고 응답했습니다. 심지어 한국의 사회적 갈등은 '정치 집단들이 부추기는 경향'이 있다는 항목에 81%가 그렇다고 응답했습니다.
정치가 다양한 갈등을 해소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응답은 25%에 그쳤는데요, 이는 정치에 대한 국민들의 불신이 얼마나 큰 지 가늠해 볼 수 있는 부분입니다.
같은 맥락에서 우리 국민들은 사회갈등의 가장 큰 책임자로 국회와 언론을 지적했습니다.
국회 92%, 언론 89%로 두 곳이 매우 높은 비율을 기록했고 중앙정부, 법조계, 지방정부, 대통령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노력과 책임 그래프를 보시면 대통령, 중앙정부, 지방정부 등은 책임이 큰 만큼 노력도 하고 있다고 응답한 반면, 국회, 언론, 법조계는 책임은 크지만 노력도 하지 않고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반대로 책임은 낮지만 노력도가 높다고 생각하는 집단은 시민단체였습니다. 종교계는 책임도 노력도 적다는 응답이 많았습니다.
사회 통합을 위해 중심적 역할을 해야 할 사회적 주체는 정부와 국회가 대다수였고 종교단체는 꼴찌인 4%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16%를 기록한 노조보다도 낮은 비율로 종교에 대한 기대치가 낮다는 부분이 한편으로는 씁쓸함으로 다가옵니다.

갈등 문제가 주요 사회 이슈로 떠오른 만큼, 차기 정부 국정 과제로 '경제성장'에 이어 '갈등해소와 국민통합'이 높은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대선 과정에서 민낯이 드러난 이념, 젠더 갈등 문제를 봉합하고 통합의 길로 나아가기를 바라는 국민들의 염원이 드러나는 대목입니다. 정치개혁, 부동산 안정, 경제 양극화 해소가 그 뒤를 이었습니다.
이러한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차기 정부에 사회적 대화와 숙의 기구 신설, 운영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74%로, 필요 없다는 응답의 약 3배였습니다. 갈등해소를 위한 사회적 대화와 공론화를 위한 기구가 그동안 부족했던 결과로 해석됩니다.

갈등 해소를 위해 정의롭고 평화로운 중재자가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대, 종교 자체에 대한 기대치가 높지는 않지만 기독교인들이 각자의 자리에서 평화의 왕으로 오신 예수그리스도의 자녀로서 맡은 사명을 다하며 갈등 해결에 이바지할 수 있기를 기대해봅니다.
카드 뉴스
많이 보는 기사
오늘의 가정예배